마상무예의 역사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마상무예의 역사 


한국의 승마는 고대사회에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즉 농경 및 교통수송수단으로 이용되는 한편 전쟁에서는 꼭 필요한 전쟁수행 수단으로 발달되었으며 기사(騎射)·기창(騎槍)이라 하여 궁시(弓矢)나 장창·도검(刀劍)과 더불어 중요한 무예기술의 하나였습니다. 특히 중국에서 전래되었다는, 말을 부리며 장대로 공을 치는 격구(擊毬)라는 스포츠는 일찍부터 성행하였습니다. 한국 승마가 무예로서 본격적으로 발달한 것은 조선시대 광해군 때부터 무과 채용고시에 포함된 마상재(馬上才)라는 승마기술이 대두한 때부터입니다. 마상재는 한국 승마 자체의 독자적인 발달을 이루는 데 큰 몫을 하였습니다. 


중국 길림성(吉林省) 집안현(集安縣)에 전하는 5~6세기의 고구려 고분에는 수렵도(狩獵圖)가 그려져 있습니다. 무용총에 있는 수렵도는 산악 지대에서 4명의 말을 탄 무사가 활을 쏘며 사냥하는 모습입니다. 말을 탄 무사가 호랑이를 쫒아 가면서 전방을 향해 활시위를 당기고 있으며, 다른 장면은 말 위에서 상체를 뒤로 돌린 무사가 활시위를 당기면서 좌사 하는 방법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이 모습은 오른손에 활을 잡고 왼손으로 화살을 시위에 걸어 180˚뒤를 향한 자세로 우 후방에 있는 사슴을 향해 쏘는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쌍영총(雙楹塚)에도 마상 궁술(馬上 弓術)인 기사(騎射)의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마치「무예도보통지」에 나오는 기사(騎射)와 유사한 모습입니다. 마상 궁술인 기사(騎射)뿐 아니라 마상 장창을 이용한 기창(騎槍)도 고구려 고분에 나타납니다. 삼실총 고분에는 2인의 기수가 말을 타고 매우 긴 창으로 교전을 하는 벽화가 있고 안악 3호분의 대 행렬도와 쌍용총의 고분 벽화에는 왼손에 장창을 쥔 기수가 행렬을 따라가는 모습도 보입니다. 따라서 고구려에는 기창(騎槍)이 주요 무예의 하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